골다공증에 실시한 생화학적 골표지자 검사의 급여기준 (고시 2019-131 / 2019. 6. 28) 골다공증에 실시한 생화학적 골표지자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골흡수표지자검사와 골형성표지자검사를 각 1종씩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 음 - 가. 골다공증 약물치료 시작 전 1회 나. 골다공증 약물치료 후 약제 효과 판정을 위해 실시 시 연 2회 이내 ※ 골흡수표지자 - 누501 골흡수표지자[정밀면역검사]-C- telopeptide of Collagen Type 1 (CTX), N-telopeptide of Collagen Type 1 (NTX), 디옥시피리디놀린 ※ 골형성표지자 - 누500 골대사효소[정밀면역검사]-골특이성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 누503 골형성표지자[정밀면역검사]-오스테오칼신, N-t..
1. 성장기에 적절한 운동과 영양관리를 통해서 50대부터 시작되는 급격한 골 소실에 대비합니다 뼈는 청소년기를 거쳐 30대 초기 성년기까지 ‘최대 골량’을 이루게 되며, 약 35세에 총 골량이 천천히 감소하여 매 10년마다 약 3%씩 감소한다. 18~30세 사이에 칼슘을 충분히 섭취하고 운동을 하면 골 질량이 최대로 형성되어 노년기의 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저체중이 되지 않도록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체중 감소는 골 감소 및 골다공증, 골절을 유발하는 요인이므로 저체중(체질량 지수가 18.5kg/m2 미만)인 경우 정상 범위가 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체중을 증가시켜야 한다 3. 적정량의 칼슘과 비타민D를 섭취합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1일 칼슘 권장섭취량은 700~800mg이며, 비타민D는 10..
골표지자 (Bone turnover marker) 의 종류 8가지 - 손닥터닷컴 뼈는 지속적으로 골 형성과 골 흡수라는 재생을 하는 다이나믹한 장기 입니다. 오래된 뼈는 골 흡수에 의해 제거가 되고 골형성에 의해 새로운 뼈가 생겨나는 골교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집니 sondoctor.com 골표지자란? 골 표지자 검사는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에서 분비되는 효소, 골 교체과정에서 유리되는 성분을 혈액 또는 소변에서 측정하는 것입니다. 골 생성과 골 흡수 표지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골표자자의 임상적 이용 (1) 골소실 예측 (2) 골절위험 예측 (3) 골다공증 치료제의 반응평가 (4) 치료제의 선택 골표지자의 종류 골형성 표지자 [혈청]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SAL..
왜 골다공증 치료로 부갑상선 호르몬제를 사용할까?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에서 칼슘을 내는 호르몬이다. 그러면 뼈가 약해질 것 같은데, 골다공증 치료로 부갑상선 호르몬제를 사용한다. 예전 학생때 생리학 시간때부터 왜 이런 모순적인 치료를 하는 것인지 혼란스러워 했지만, 외우는데 급급하여 알아보려고 하지 않았다. 골세포에서 SOST 유전자를 통해 높게 발현되는 Sclerostin 이라는 단백질이 있다. 이는 WNT signaling 의 inhibitor 로서, 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Sclerostin 을 억제하면 골형성이 유도된다. PTH 를 간헐적으로 투여하면 Sclerostin 이 억제된다. * Teriparatide : 하루 1회, 피하주사. - Estrogen 과 병용..
서론 처음 적는 글이라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블로그는 공신력 있는 정보 제공의 목적은 아니다. 개인적인 정보의 정리, 그리고 나 보다 헷갈려 하는 사람들을 위해 후려치기 식의 쉬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병원에서는 골밀도 검사를 자주 하지만 그 해석이 참 어렵다. 어렵다기보다는 중요하게 생각을 안하는 경우가 대다수 인 것 같다. 골다공증으로 사람의 생명이 좌지우지 되지는 않으니깐. 그래도 알고보면 유용하다. 주변 지인들도 골다공증에 대해 관심이 많을 것이므로. 골밀도 검사의 해석 우선 T score 와 Z score 를 알아야 한다. 통계학적인 지식이 들어가지만, 쉽게 가자. T-score 는 (환자의 측정값 - 젊은 집단의 평균값) / 표준편차 라고 정의하지만, 결국은 환자가 젊은 사람의 골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