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골다공증 치료로 부갑상선 호르몬제를 사용할까?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에서 칼슘을 내는 호르몬이다. 그러면 뼈가 약해질 것 같은데, 골다공증 치료로 부갑상선 호르몬제를 사용한다. 예전 학생때 생리학 시간때부터 왜 이런 모순적인 치료를 하는 것인지 혼란스러워 했지만, 외우는데 급급하여 알아보려고 하지 않았다. 골세포에서 SOST 유전자를 통해 높게 발현되는 Sclerostin 이라는 단백질이 있다. 이는 WNT signaling 의 inhibitor 로서, 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Sclerostin 을 억제하면 골형성이 유도된다. PTH 를 간헐적으로 투여하면 Sclerostin 이 억제된다. * Teriparatide : 하루 1회, 피하주사. - Estrogen 과 병용..
서론 처음 적는 글이라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블로그는 공신력 있는 정보 제공의 목적은 아니다. 개인적인 정보의 정리, 그리고 나 보다 헷갈려 하는 사람들을 위해 후려치기 식의 쉬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병원에서는 골밀도 검사를 자주 하지만 그 해석이 참 어렵다. 어렵다기보다는 중요하게 생각을 안하는 경우가 대다수 인 것 같다. 골다공증으로 사람의 생명이 좌지우지 되지는 않으니깐. 그래도 알고보면 유용하다. 주변 지인들도 골다공증에 대해 관심이 많을 것이므로. 골밀도 검사의 해석 우선 T score 와 Z score 를 알아야 한다. 통계학적인 지식이 들어가지만, 쉽게 가자. T-score 는 (환자의 측정값 - 젊은 집단의 평균값) / 표준편차 라고 정의하지만, 결국은 환자가 젊은 사람의 골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