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입원시나 수술전 매독에 대한 스크리닝 검사로 VDRL 키트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양성 또는 음성으로만 결과 값이 나오는 정성 검사 입니다. 이러한 경우 종종 매독 키트 양성으로 확인되는 환자분들이 있는데, 모두 매독으로 신고를 해야 할까요? 아닙니다. 매독 키트 양성 결과 단독으로는 신고를 하지 않습니다. 일단 키트는 매독 진단을 위한 권장하는 검사 방법이 아닙니다. 양성이 나왔다면 확진을 위해 추가적인 검사를 해야 합니다. titer 를 확인할 수 있는 RPR 혹은 VDRL 정량검사를 진행하고, 트레포네마 검사와 병력청취 및 과거 치료 이력을 확인하여 매독을 확진합니다. 또 고령, 자가면역질환, 심혈관계 질환, 임신, 말라리아, 나병, 다른 spirochete 감염, 최근 예방접종 등의 경우 ..
매독전수감시 전환에 따른 매독신고안내서 PDF 다운로드 (질병관리청) 매독 검염병 등급 조정에 따른 변경사항 24년 1월부터 매독이 진단되면 24시간 이내에 신고, 역학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 신고할 곳 : 방역통합정보시스템 (https://eid.kdca.go.kr) 매독 병기별 고유코드 1기 매독 A51.0 생식기의 일차매독 A51.1 항문의 일차매독 A51.2 기타 부위의 일차매독 A53.9 상세불명의 매독 O98.1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매독 A51.9 상세불명의 조기매독 2기 매독 A51.3 피부 및 점막의 이차매독 A51.4 매독성 기타 이차매독 A53.9 상세불명의 매독 O98.1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매독 A51.9 상세불명의 조기매독 3기 매독 A52.0 심혈관매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