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콩팥병 환자라면 정기적으로 하는 혈액검사를 통해 본인의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 여과율 변화에 일희일비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왠만한 의료전문가 못지않은 관심과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만성콩팥병 환자분 진료때는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 여과율을 메모지에 적어드리면서 수치를 기억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어떤 만성 콩팥병 환자분의 경우 크레아티닌 수치를 가지고 신장학회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추정 사구체 여과율 계산기로 계산해보는 분도 계신데, 가끔 병원에서 받은 검사결과지 상 추정 사구체 여과율 수치가 서로 다르다며 어떤 것을 기준으로 봐야 하는지 문의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사구체는 신장의 작은 필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사구체 여과율은 신장의 전체 사구체, 즉 필터가 얼마나 ..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져 있는 노인, 노화인가? 만성콩팥병인가? (HUGE 공식) 정상 노화의 과정 출생시 신장의 크기는 약 50g 인데 40대까지 점차 크기가 커져 400g 이상이되고 이 후 점점 크기가 작아져 90대에는 300g 이하가 됩니다. (주로 피질이 작아지고 수질은 보존됩니다.) 연간 한쪽 신장에서 6800개의 네프론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사구체 여과율도 출생시에는 낮았다가 40대까지 140 ml/min/1.73m2 까지 증가하고 이 후 10년마다 약 8 ml/min/1.73m2 씩 감소합니다. 만일 고혈압이나 당뇨, 흡연,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염증, 비만 등이 있을 경우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 속도는 더욱 빨라집니다. (만성콩팥병) 따라서 나이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한 것인지 만성콩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