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ondoctor.com/ 위식도역류질환 GERD 가이드라인 변화 - 손닥터닷컴 위식도역류질환 (GERD) 는 증상의 스펙트럼이 다양하고 흔하면서도 불편한 질환입니다. 최근 위식도역류질환의 가이드라인이 점점 개정되고 있고 PCAB 으로 분류되는 신약도 출시되었습니다. 최 sondoctor.com https://ekjm.org/journal/view.php?number=25789 2020 Seoul Consensu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서 론 위식도 역류 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은 위내용물의 역류로 인하여 불편한 증상이 발생하거나 합병증이 동반되는 질병이..
https://sondoctor.com/ppi-and-p-cab/ PPI 와 P-CAB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 손닥터닷컴 PPI 와 P-CAB, 기존 위식도역류질환에 사용하는 약제로 H2RA 와 PPI 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개념의 약제가 시판되면서 위식도역류 sondoctor.com 기존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제인 PPI 의 단점 Pro-drug 이므로 실제 약물이 작용하기 위해서 Acid 에 의한 transformation 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실제 작용하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Active 한 H+/K+-ATPase 에만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억제합니다. 따라서 음식 섭취를 통한 parietal cell 의 stimulation ..
https://sondoctor.com/ 위산 분비의 생리학 - 손닥터닷컴 위산은 음식물 속의 세균을 없애고 단백질의 소화를 도와주는 좋은 역할을 하지만,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위산 분비의 생리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 sondoctor.com 위벽을 구성하는 세포 종류 Proximal part Parietal cell (=oxyntic cell) : 위산(HCl), intrinsic factor 분비 (parietal cell 에서 위산 분비 자극시 같이 분비) Chief cell (=peptic cell) : Pepsinogen 분비 Enterochromaffin-like cell (ECL cell) : Histamine 분비 (Histamine 은 lamina..
만성기침 원인 상기도기침증후군(UACS) 천식 호산구기관지염 위식도역류질환 기간에 따른 기침 분류 3주까지는 급성, 3~8주는 아급성, 8주 이상 지속시에는 만성 기침으로 분류한다. 기간에 따라 흔한 원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중요하다. - 급성 (3주 이내) : 감기, 폐렴, 급성기관지염 - 아급성 (3~8주) : 감염 후 기침 (postinfectious cough) - 만성 (8주 이상) : 상기도기침증후군 (UACS), 천식, 호산구기관지염(EB), 위식도역류질환(GERD), ACEi유발기침, 만성기관지염(흡연), 기관지확장증 기침의 수용체 분포 목, 코, 귀 등에도 수용체가 있어 비염, 부비동염, 후비루, 귀를 파는 등의 행동으로 기침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도 기침 증후군 (upper air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