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환자 진료시 고려해야 할 5가지 요소, 네번째 전해질 혈액내 전해질을 균형있게 맞추는 것은 신장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만성 신부전 환자 및 투석환자에서 전해질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특히 칼륨과 인이 특히 중요하게 봐야할 전해질 입니다. 칼륨은 3.5~5.1 정도가 정상범위인데, 너무 낮거나 높아도 심장의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어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신부전 환자는 소변으로의 칼륨 배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고칼륨혈증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따라서 신부전환자는 칼륨 섭취를 되도록 줄이고, 필요하다면 음식물에 포함된 칼륨의 흡수를 막는 약을 복용하여 적절한 칼륨 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칼륨을 낮추는 약에는 카리메트, 카슈트, 카로스, 아가메이트 젤리 등 다양한 제형..
신장질환에서 요화학검사의 진단적 응용 The Use of Selected Urine Chemistries in the Diagnosis of Kidney Disorders Urine Sodium Assessment of Effective Circulating Volume 정상 상황에서 신장에 의한 Na excretion 은 “dietary Na intake – 소량의 땀과 배설물에 포함된 Na” 과 일치한다. 이러한 match 는 ECF volume 을 narrow range 로 유지하도록 한다. 만일 Effective circulatory volume 이 줄어들었을 경우, Effect mechanism (교감신경과 RAAS) 이 항진되어 신장에서 Na retention 이 일어나며, 소변 Na 농도가 ..
전해질 이상과 관련된 해리슨 표 모음 (해리슨 내과학 17판) 얼마전 해리슨 20판이 출시되었다. 전해질 이상이 동반된 환자들을 만날때 해리슨에 나와있는 진단 알고리즘을 자주 참고하는데, 해리슨 18판부터 그것이 좀 더 복잡하게 바뀐 것 같다. 17판의 진단알고리즘이 때로는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워 구판이지만 찾아보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17판의 전해질 관련 진단 알고리즘을 모아보았다. * Hyponatremia (저나트륨 혈증) * Hypernatremia (고나트륨혈증) * Hypokalemia (저칼륨혈증) * Hyperkalemia (고칼륨혈증) * Polyuria 의 주요 원인 * Polyuria * Metabolic acidosis (대사성 산증) * Metabolic alkalosis (대..
전해질 이상과 관련된 해리슨 표 모음 (해리슨 내과학 19판) (1) 저나트륨혈증 수술 후 환자에게 Hypotonic fluid 를 IV 로 주었을 때 circulating AVP 가 상승하여 급성 hyponatremia 가 생길 수 있다. (2) 고나트륨혈증 (3) 저칼륨혈증 (4) 고칼륨혈증 끝. 2018/7/2 - S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