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로 발생한 심부전 - 좌심실 박출률과 상관없이 새롭게 발생한 심부전 : 원인평가, 가이드라인에 근거한 추천치료, 관리 (영상검사, 심근조직검사, 유전자 검사 등) (2) 심부전의 원인으로 2차 소견이 필요할 때 -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재관류 치료가 도움? - 판막질환에 대해 교정하는 것이 도움? - 심근염 의심시? - 특수 심근병증이 의심되거나 확진된 경우 (HCMP, RCMP, Sarcoidosis 등) (3) 3개월 이상의, 가이드라인에 근거한 약물치료에도 지속적인 LV EF < 35% 일때 (4) 위험요인이 발생하거나 지속되는 만성 심부전 - 지속적인 주사용 강심제가 필요할 때 - 폐 울혈에 의해 NYHA class III ~ IV 의 증상이나 심각한 피로 지속시 - 수축기 혈압이 90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