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 기능이 나쁘다고 들으신 60대 남성분 현재 Cr 1.3, 사구체여과율 55.8 초음파 소견과 여러가지 혈액수치 결과 첨부 위장약, 매스틱 복용 중 문의 내용 1. 신장 상태는 어느정도인지? 수치가 자주 변화하는지? 2. 단백질 보충제를 먹어도 되는지? 3. 비타민 D 주사를 맞아도 되는지? 4. 기타 주의사항은? 답변 내용 > 안녕하세요~ 상담 메일 보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근 연말 검진기간이기도 하고 생업에 종사하느라, 다소 답장이 늦은 점 너그러히 용서바라겠습니다. 천천히 하나하나씩 최대한 정성을 다해 답변을 드려보겠습니다. 보내주신 글을 보니, 신장에 대해 나름대로 상당히 공부를 하신 것 같습니다. 이렇게 초기부터 관심을 가지고 계시기 때문에 앞으로 건강관리도 잘 하실 것으로 믿어의심치 않습..
콩팥은 잘못이 없는데 투석을 해야하는 경우 콩팥이 나쁘면 투석을 합니다. 콩팥이 나빠지는 원인 중 가장 대표적은 것이 당뇨와 고혈압 입니다. 이 두 가지 모두 혈관에 병을 일으키는데, 미세한 혈관 뭉치로 구성된 콩팥 입장에서 혈관의 병이란 치명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외에 사구체 신염이 많은 원인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결국 콩팥의 역할은 정수기와 같이 혈액을 걸러 남는 수분과 노폐물은 버리고, 좋은 것은 다시 받아들이는 기능을 합니다. 정수기의 수많은 필터 역할을 하는 것이 사구체인데, 수십만개가 존재합니다. 사구체는 3중 구조의 거름막으로 되어있습니다. 이 중 한 겹이라도 손상이 되면, 단백질이 세어나오고, 적혈구가 세어나와 단백뇨, 혈뇨가 생기고, 자꾸 커다란 분자들이 필터의 결손 부분으로 세어 ..
안녕하세요. 손닥터 입니다. 이번에는 신장조직검사의 전문가적 내용을 추려서 만들어본 자료 입니다. 외래에서 진료를 보다보면 결국 신생검을 할지말지로 귀결되어지는 환자 케이스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언제 조직검사를 해야하는지 그 적응증과 합병증, 금기 사항에 대해 확실히 알고자, 여러 문헌들을 참고하여 소개합니다. 브래너 교과서 10판 입니다. 1g 이상의 의미있는 단백뇨가 있을때나, 미세혈뇨와 단백뇨가 같이 있을때가 주요 적응증이 되겠습니다. 비교적 간단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금기로는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출혈 경향, 수신증, 협조가 되지 않는 환자가 절대적 금기 사항이고, 상대 금기로는 single kidney, 해부학적 이상, small kidney, obesity 등이 있습니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