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의 조절
- 02_진료 자료/1차의료의 완성
- 2023. 6. 7.
인의 조절
Phosphate (Pi) 은 DNA, RNA, ATP 등을 구성하는 중요 구성요소 이면서 뼈를 구성하는 성분이기도 합니다.
소변에서의 Pi 는 산-염기 조절의 중요한 buffer 로도 작용합니다.
86% 의 Pi 는 뼈에 있으며
14% 는 ICF
0.03% 는 ECF 에 있습니다.
혈액의 정상 Pi 농도는 4mg/dL 정도됩니다.
10% 는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어 사구체에서 여과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혈액 Pi 의 10% 미만이 최종적으로 배출됩니다.
Pi 의 조절은 2가지 요소가 중요합니다.
체내 전체 Pi 의 양
ICF 와 ECF 사이의 Pi 의 분포
체내 전체의 Pi 의 양
체내 전체의 Pi 의 양은 위장으로 흡수되는 Pi 와 소변으로 배출되는 Pi 의 상대적인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음식으로의 Pi 섭취가 증가하거나 위장관으로 흡수되는 Pi 양이 증가 (passive mechanism)
calcitriol 에 의해 자극되어 위장관으로 흡수되는 Pi 의 양이 증가 (active mechanism)
Pi 의 섭취는 800 ~ 1500 mg/day 로 그 양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체내 Pi 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위장관에서의 Pi 흡수량과 비례하여 신장에서 배출합니다.
ICF 와 ECF 사이의 Pi 의 분포
PTH, calcitriol, calcitonin 세 가지 호르몬이 ICF 와 ECF 사이 Pi 의 분포에 관여합니다.
이중 calcitonin 은 영향력이 가장 적은 호르몬입니다.
칼슘과 마찬가지로 뼈에서 Pi 를 방출을 자극하는 호르몬은 PTH, calcitriol 이 맡습니다.
따라서 뼈에서 Pi 의 방출은 항상 칼슘 이온 방출과 동시에 일어납니다.
반면 calcitonin 은 bone formation 을 증가시켜 혈액의 Pi 를 감소시킵니다.
신장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액내 Pi 가 적은 양이라도 상승하면 사구체로 여과되는 Pi 의 양이 늘어납니다.
기본적으로 신장에서는 최대한 Pi 를 재흡수하고 있는 상태라 조금이라도 사구체로 여과되는 Pi 의 양이 늘어나면 신장으로 배출되는 Pi 의 양도 같이 늘어납니다. 따라서 위장관에서 흡수되는 Pi 양보다 Pi 의 소변 배출량이 더 많아져 체내로부터 빠져나가는 Pi 가 생기고 혈액내 Pi 의 농도는 감소합니다.
Pi 의 최대 재흡수량은 식이로 섭취하는 인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 섭취량이 증가하면 Pi 의 최대 재흡수량은 적어지고
인 섭취량이 감소하면 Pi 의 최대 재흡수량은 많아집니다.
이러한 효과는 PTH 와 독립적으로 발생합니다.
신장에서의 Pi 재흡수 및 배출
Proximal tubule 에서 여과된 Pi 의 80% 를 재흡수 합니다.
Distal tubule 에서 여과된 Pi 의 10% 를 재흡수 합니다.
Loop of Henle 의 TAL 과 collecting duct 에서 재흡수되는 Pi 의 양은 매우 적어 무시해도 될 정도의 양입니다.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Pi 의 양은 여과된 Pi 의 10% 정도 입니다.
(장에서 매일 흡수되는 양과 비슷)
Pi 의 재흡수는 주로 proximal tubule 에서 일어납니다.
주로 transcellular route 로 진행됩니다.
apical membrane 을 통한 Pi 의 세포내 유입은 Na+-Pi symporter (NPT) 가 담당합니다. (3가지 NPT 가 확인되었는데 이 중 NPT2 가 Pi 재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asolateral membrane 으로의 Pi 유출은 Pi-inorganic anion antiporter 가 담당합니다.
distal tubule 에서의 Pi 재흡수 기전은 아직 밝혀진바 없습니다.
* tubule 에서 재흡수되는 인의 양 (TRP)
(TRP : tubular reabsorption of phosphate)
1에서 인의 분획배설율 (FE PO4) 를 빼면 구할 수 있음.
TRP = 1 - FE PO4
FE PO4 = (urine Pi x serum Cr) / (serum Pi x urine Cr)
인의 소변 배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몇 가지 호르몬들과 인자들이 소변으로의 Pi 배출에 관여합니다.
PTH 는 Pi 소변 배출에 가장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PTH 는 Proximal tubule 에서 Pi 의 재흡수를 억제합니다.
(PTH가 endocytic removal of NPT2 from the brush border membrane of the proximal tubule 을 자극)
음식으로 섭취하는 Pi 도 PTH 와 별개로 Pi의 소변 배출 조절에 관여합니다.
(by altering the transport rate of each NPT2 symporter and the number of transporters)
ECF volume 도 Pi 의 소변배출에 관여합니다.
ECF volume 이 늘어나면 Pi 의 소변배출도 늘어납니다.
(indirect and may involve changes in levels of hormones other than PTH)
산염기 상태에 따라서도 Pi 소변배출이 달라집니다.
산증일때 Pi 의 소변 배출은 증가합니다. 알칼리증일때는 감소합니다.
Glucocorticoid 는 Pi 의 소변배출을 증가시킵니다.
Glucocorticoid 가 proximal tubule 에서의 Pi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distal tubule 과 collecting duct 로의 Pi 의 delivery 를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억제는 distal tubule 과 collecting duct 에서 H+ 를 더 많이 분비하도록 하여 HCO3- 를 더욱 많이 생성해냅니다. (Pi 는 중요한 urinary buffer 역할을 하기 때문.)
Growth hormone 은 Pi 의 소변배출을 감소시킵니다.
(성장기 어린이들은 성인에 비해 혈액 인수치가 높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 수치 상승은 뼈 형성에 중요합니다.)
몇 가지 Phosphaturic factors ( = phosphatonins)
fibroblast growth facter 23 (FGF-23), frizzled-related protein 4 (FRP-4), matrix extracellular phosphaoglycoprotein, FGF-7, Klotho protein 를 포함
이러한 호르몬들은 종양에서도 분비가 되는데 신장에서 Pi 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osteomalacia 를 유발합니다.
음식으로 인섭취가 많을 경우 혈액의 FGF-23 level 이 상승하는데 이는 NPT2 의 발현을 감소시켜 Pi 의 소변배출을 증가시킵니다. (Proximal tubule 에서의 재흡수 감소) 또한 calcitriol 의 level 도 감소시킵니다.
* FGF-23 : 인 대사의 가장 중요한 조절 인자로 보고됨. tubule 의 Pi 재흡수를 감소, calcitriol 생성을 억제하여 장내 인 흡수 감소, 궁극적으로 혈액 Pi 농도를 감소시키는 작용. Klotho 단백질은 FGF-23 이 Proximal tubule 의 receptor 에 결합하는데 필요 (FGF-23 과 무관하게도 인의 재흡수를 줄이는 역할을 함)
* 인용출처 : Berne and Levy physiology 6e, 임상신장학 3e
2022.08.13 - [투석실 이야기] 부갑상선 호르몬을 얕보지 말라
2020.03.30 - 비타민D 요약, 바이타민D 활성비타민D 노인비타민D
2018.09.09 - 칼슘(Calcium), 인(Phosphate) 과 관련된 Brenner Textbook (신장학 교과서) 그림 모음
2019.10.08 - Zemplar 에 대해 (Paricalcitol)
'02_진료 자료 > 1차의료의 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염식, 고염식 확인하는 검사 방법 한 가지 (Urine Na/K ratio) (1) | 2023.06.10 |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의료기관 감염예방/관리 (2-2판, 2023. 5. 31) 중 인공신장실 파트 (feat. 코로나19 대응지침 2-7판 [인공신장실용], 2023. 5. 15) (0) | 2023.06.08 |
해외여행시 주의해야 할 주요 감염병 (2023. 5. 10 한경기사 발췌) (8) | 2023.06.06 |
칼슘의 조절 (2) (0) | 2023.06.05 |
칼슘의 조절 (1) (1)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