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분제 : 2가철 (ferrous) 과 3가철 (ferric) 시중에 판매 또는 처방되는 철분제는 크게 2가철과 3가철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2가철은 3가철에 비해 빠르게 흡수되고 흡수율이 일반적으로 3배 정도 높습니다. 그러나 2가철은 위장 장애나 변비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2가철은 위 내에 위산이 적은 경우 3가철로 변한 후 위내 침전되므로 위점막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2가 철은 소장에서 빠르게 흡수되지만 점막 통과 시 점막 단백질과 결합하므로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가철은 위장장애는 적으나 2가철에 비해 흡수가 느리고 금속성 맛이 나며,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이 단점입니다. 위장장애를 줄이기 위한 무기염제제가 개발되었으며, 그 중 대표적인 황산제일철은 서서히 방출되도록..
투석환자 진료시 고려해야 할 5가지 요소, 두번째 빈혈 말기 신부전 환자의 경우 빈혈이 흔합니다. 하지만 빈혈은 삶의 질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이 부분을 잘 해결해주어야 합니다. 투석환자의 Hb 의 목표는 11~11.5 정도입니다. 13 이상으로 유지했더니 오히려 사망률이 더 높았다는 연구결과에 근거합니다. (Hb 10 미만에서 빈혈치료를 시작) Hb, Hct, Iron, TIBC, Ferritin 의 수치를 확인해야 하며 각 수치에 따라 처치 방법이 다릅니다. 우선 Hb 11, Hct 33 이하의 빈혈이 확인이 되었다면, Iron/TIBC 를 통해 T.sat 을 구하고, Ferritin 을 확인합니다. Ferritin 수치가 충분히 높고, T.sat 이 감소되어 있다면 (20% 미만) 이는 체내 철분은..
[MN] 만성콩팥병과 빈혈 Anemia in CKD 빈혈은 CKD 환자에서 흔한 증상이기도 하지만 나쁜 예후와도 연관이 있다. CKD 환자에서 빈혈은 QOL 을 나쁘게하며, LVH 등의 심혈관 질환과도 연관이 있다. 그 외 hospitalization, Cognitive impairment, Mortality 등과도 연관이 있다. CKD 환자에서 Anemia 가 잘 발생하는 이유는, renal Erythropoietin 생성이 감소되고, Uremia 로 인해 Red cell survival 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CKD 가 진행할수록 anemia 의 유병률은 증가하며, stage 5 CKD 에서는 70% 이상에서 빈혈이 발생한다. 정상인에서는 Red cell mass 의 감소 (빈혈)에 대한 반응으로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