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부전과 간신증후군 (3) - Treatment HRS-1 의 주된 약물 치료는 vasoconstrictor therapy 입니다. 1. Vasoconstrictor therapy (1) Albumin Vasoconstrictor 의 효과를 증명하는 거의 모든 임상 연구에서는 IV albumin 을 동시에 투여하여 effective circulating volume 을 최적화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Terlipressin 을 사용한 연구에서도 동시에 albumin 을 투여하는 것이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 효과가 더 좋았습니다. 추천 용량은 문헌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가장 널리 사용하는 용법은 give 25 g of 12.5% albumin intravenously every 6 hour..
급성 신부전과 간신증후군 (2) - Diagnosis HRS-1 진단을 위한 gold standard 는 없습니다. 따라서 HRS-1 은 어떻게보면 exclusional diagnosis 입니다. 1996년에 International Club of Ascites (ICA) 에서는 임상의를 위한 진단기준을 제안한바 있습니다. 이 기준은 연구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2007년에는 이 기준이 업데이트외었고 바뀐 부분도 있습니다. minor criteria 는 아예 삭제되었습니다. 2015년에는 이 진단기준이 다시 업데이트 되는데, absolute serum creatinine cut-off values 는 삭제되고, KDIGO 의 AKI 정의를 응용하였습니다. 그러나 classic phenotype ..
급성 신부전과 간신증후군 (1) - Pathophysiology 간경화는 만성 간질환의 진행된 형태이고 간 실질의 섬유화를 특징적으로 하는 상태입니다. 간경화가 있는 환자들은 급성신손상의 고위험군이기도 합니다. (간경화 입원 환자 중 급성 신손상의 발생율은 20% 정도라는 보고) 게다가 유효동맥혈량이 부족하며, 소화기나 소변으로의 수분 배설을 촉진하는 약들을 많이 사용합니다. 락툴로오스나 이뇨제가 그 예입니다. 또한 이러한 환자들은 신독성 항생제에 노출 되기 쉽습니다. 자발성 세균 복막염 등의 감염성 질환도 쉽게 발생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대량 복수 천자를 할 경우에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해질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급성신손상의 기본적인 위험 요인도 있지만, 문맥 고혈압이 동반된 상당히 진행된 간경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