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진균제 Antifungal agents (3) : 항진균제의 사용, 예방적, 경험적, Invasive candidiasis, Esophageal candidiasis, Invasive Aspergillosis, Mucomycosis Uses in antifungal agents 1. Propohylaxis ; all patients with neutropenia (before infection) 2. Pre-emtive or empirical ; Persistent neutropenic fever + alpha (Galactomannan?, Beta-glucan?, PCR?, HRCT?) * Empirical Tx. 를 시작하는 경우 1) High risk patients with prolonged n..
항진균제 Antifungal agents (2) : 항진균제의 종류별 특징, Amphotericin B, Azoles, Echinocandins, 5-FC, 부작용 1. Amphotericin B - Polyene 계열 - AmBd, LAmB, ABLC, ABCD 가 있다. - Broad spectrum 을 가지고 있다. : Candida, Cryptococcus, Aspergillus, Mucorales - Fungicidal for both CAndidia and Aspergillus - AmBd 의 infusion 시 toxicity 로 LAmB 가 개발되었다. * UTI 때는 Amphotericin B deoxycholate 를 사용해야 함. (urine penetration 이 높기때문) PK ..
항진균제 Antifungal agents (1) : 항진균제의 종류, Polyenes, Amphotericin B, Azoles, Triazoles, Echinocandins, Flucytosine, 항진균제의 내성 항진균제의 4가지 카테고리 Polyenes / Azoles / Echinocandins / Pyrimidine analogue * 진균의 세포벽 구조 사람에게는 없는 Beta 1,3 glucan 과 Ergosterol 이 세포벽과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다. → 이러한 물질이 항진균제의 목표물이다. * 진균의 성장 형태에 따른 분류 * Systemic mycosis 는 최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로 systemic mycosis 의 위험 요인을 가지는 환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
심부전 약제 : 효과증명된 약물 목표 용량 심부전 환자라면 효과가 증명된 약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RAAS 계열 차단제는 저용량에서 시작하되 목표 용량으로 점차 올려야 효과가 있다. 저용량 부터 쓴다고해서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HPV : 자궁경부암 고위험유형 위험인자 예방접종방법 접종간격 가다실 서바릭스 백신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시 대부분 무증상 12~24개월 내 자연 소멸 3~10%는 지속감염되어 수년~수십년 후 다양한 암 발생 가능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두경부암 등) 국내 HPV 감염 현황 2006~2011년 18~79세 여성 60775명 대상 실태조사 결과 : 34.2% 에서 HPV 감염 상태 18~29세에서 49.9% 로 가장 높고 중년에서 감소하는 경향 암을 잘 일으키는 고위험 유형 HPV 16, 18 이 대표적 자궁경부암, 항문암 등을 일으킴 특히 자궁경부암은 99%에서 고위험 유형 HPV 에 의해 발생하고 그 중에서 70%가 HP..
B형 바이러스 간염 : 역학 용어 백신 고위험군 백신무반응자 건강검진에서 B형 간염항체 없다면 역학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15~25% 에서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하여 사망 만성 B형 간염 보유자는 간암의 발생율이 일반인에 비하여 150~400배 높음 우리나라 간암 환자의 약 70%가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관련됨. 잠복기 : 평균 60~90일 (45~180일) 임상증상 발현 : 5세 미만 (10% 미만), 5세 이상 (30~50%) 급성 감염에 의한 사망율 : 0.5~1% (전격성 간염) 만성 감염으로 이행 : 5세 미만 (30~90%, 1세 미만의 경우 90%), 5세 이상 (2~10%) 용어 HBsAg : 표면항원 Anti-HBs : 표면항체, 과거 감염이나 백신의 면역반응 HBeAg :..
GOLD 가이드라인 2023, 몇 가지 중요 표와 그림 COPD 평가 COPD 를 의심하고 spirometry 를 해봐야하는 경우 GOLD Grades snd Severity mMRC dyspnea scale CAT assessment GOLD assessment Tool (ABCD 에서 ABE로 바뀜) stable COPD 치료 stable COPD 의 흡입기 치료 COPD 급성악화의 치료 2018.10.08 - 만성폐쇄성 폐질환 (COPD) GOLD 가이드라인 2017 만성폐쇄성 폐질환 (COPD) GOLD 가이드라인 2017 만성폐쇄성 폐질환 (COPD) GOLD 가이드라인 2017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GOLD) 2017..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임상 양상 2023.03.04 -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6 -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2023.04.26 -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2023.05.08 - ADPKD (4) 치료 : 보존적치료, 고위험군 치료 2023.05.09 - ADPKD (5) 합병증 : 신대체요법, 통증, 출혈,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거대 간낭, 뇌동맥류 1. ..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4 -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6 -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2023.04.26 -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2023.05.08 - ADPKD (4) 치료 : 보존적치료, 고위험군 치료 2023.05.09 - ADPKD (5) 합병증 : 신대체요법, 통증, 출혈,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거대 간낭, 뇌동맥류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양측 신장에 대수의 낭종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1000~4000명당 1명꼴로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유전성 ..
만성콩팥병 만성신부전 진료 볼 때 검사결과 듣고 기억해야할 항목들 0. 만성콩팥병 진료의 목적 인간은 노화라는 과정이 있기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콩팥은 노화되어 기능이 점점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쉽게 35세까지 신장기능이 100% 기능이고 이 후로 1년에 1%씩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혈압이나 당뇨 등 콩팥 기능을 훼손시킬 수 있는 질환이 있다면 이 속도는 더 빨라질 수 있습니다. 1년에 1%씩이 아닌 1년에 2%, 3%, 4%... 이런식입니다. 신기능이 1년에 3%씩 가파르게 떨어진다면 10년이면 30%, 20년이면 60%, 30년이면 90%가 떨어져 투석을 해야하는 수준까지 다다르게 됩니다. 만성콩팥병 진료의 목적은 나빠진 콩팥의 기능을 원래대로 돌려놓는 치료가 아닙니다. 콩팥의 악화속도를 최..
대한비만학회 비만진료지침 2022년 8판 요약 1. 비만의 진단 성인 비만의 기준은 동반 질환의 위험을 고려하여 체질량지수 25 이상 성인 복부 비만의 기준은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 2. 비만 치료전 평가 이차성 비만의 원인 평가 체중감량의 일차목표 : 치료 전 체중의 5~10% 를 6개월 내에 감량하는 것 3. 식사치료 4. 운동치료 체중 감량을 위해 유산소운동은 주당 150분 이상, 주당 3~5회 실시하고 근력운동은 대근육군을 이용하여 주 2~3회 실시하는 것을 권고함. 5. 행동치료 6. 약물치료 체질량지수 25 이상인 환자에서 비약물치료로 체중감량에 실패한 경우에 약물치료 고려 비만치료제 유지 용량 투여 3개월 내에 5% 이상 체중 감량이 없다면 약제를 변경하..
응급투석 포스팅 글에 댓글로 문의해주신 분이 계신데, 답변이 매우 길어질 것 같아 따로 포스팅을 해봅니다. 아버지 응급투석하셨는데 클롯이 여러번되서 하루에 한번은 카테터를 바꾸셨다고하더라구요. 그에 따른 부작용은 없는건가요? 궁금해요 ㅡㅡㅡㅡㅡㅡㅡ 통화가되지않아 집에가보니 의식없는 체 얕은숨 쉬고계셔서 119 로 병원에 도착하였고, 저혈당체크되었습니다. 50이하. 저희가족은 아버지 당뇨이력이 없다고 생각했는데요. 기존에 기력쇠하고 매일 식사없이 소량의 술을 드셨죠. 병원도착후 1주만에 의식호전되는듯 하다가 폐렴. 폐렴악화. 반코마이신 주사로 부작용(혈압저하.범용성빈혈. 혈소만1.4,신기능악화소변이밤새 눈꼽만큼나왔다하며) 그이후 의식저하 모든게 악화되었으나 1회투석 응급투석 4일, 포터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