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 정의 분류 증상 징후 진단 BNP 원인감별검사 치료 ACEi ARBs ARNI BB MRAs SGLT2i 이뇨제 Ivabradine (심부전학회 진료지침, 2022) 심부전의 정의 심장의 기능적 혹은 구조적 이상으로 심실의 혈액박출 혹은 충만에 이상이 발생하여 호흡곤란, 다리부종, 피로 등의 증상이 생기고 폐의 수포음, 경정맥압 상승 등의 신체 징후가 동반될 수 있는 임상 증후군이다. 심부전의 분류 박출률 감소 심부전 : HFrEF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박출률 경도 감소 심부전 : HFmrEF (heart failure with mildly reduced ejection fraction) 박출률 보존 심부전 : HFpEF (heart ..
의료급여 (보호환자) 혈액투석 산정방식 개선을 위한 관련 규정 정비 :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64호 (원문, 2021. 3.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64호 (2021년 4월 1일부터 시행) 외래에서 혈액투석 시 수가 산정 방식 개선을 위한 관련 규정 정비 (정액(금액)에서 정액점수화 등) (제7조, 별표 1) 의료급여수가의 기준 및 일반기준 일부개정 제7조제1항 및 제2항을 각각 다음과 같이 한다. ① 만성신부전증환자가 외래에서 혈액투석시에는 다음 표의 1회당 정액 수가(점수)에 국민건강보험법 제45조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고시한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의 내역”의 유형별 분류에 따른 점수당 단가를 곱한 금액과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2부 제9장 처치 및 수술료 등 [투석] 중..
하지불안증후군 치료 약제, 이차성원인, 악화시키는 약물 하지불안증후군은 불면증 원인의 상당수 원인을 차지 "저녁이 되면 다리에 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 같아요." "다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불편해서 잠을 못자요." 하지불안증후군의 약물치료 도파민이 부족하여 발생 : dopamine agonist 를 처방 수면제는 거의 효과가 없다. (1) Dopamine agonists (1차 약제) - Ropinirole : 리큅 - Pramipexole : 미라펙스 (2) Benzodiazepines (insomnia PLMS) - clonazepam : 리보트릴 (3) Iron supplemnetation - Ferrous sulfate (ferritin 이 50 이하일 경우) : 훼로바유 (4) Anti-convul..
Thiazide 이뇨제 : Chlorothiazide, Hydrochlorothiazide, Chlorthalidone, Indapamide, 약제 종류에 따른 특징 Equivalent dose, Onset, Peak, Duration 1958년 : chlorothiazide 사용 승인 (첫번째 thiazide) 1959년 : Hydrochlorothiazide 승인 1960년 : Chlorthalidone 승인 1969년 : Indapamide 승인 Hydrochlorothiazide : 다이크로짇정 25mg (유한양행) Chlorthalidone : 하이그로톤정 25mg (한림제약) Indapamide : 다피드정 2.5mg (진양제약), 나트릭스서방정 1.5mg (영진약품), 후루덱스서방정 1.5m..
수면제 불면증치료제 종류 : 벤조다이아제핀계 비벤조다이아제핀계 Z-drug 졸피뎀 잘레플론 멜라토닌 서카딘 아고멜라틴 항우울제 독세핀 트라조돈 멀타자핀 세로퀠 올란자핀 오렉신 수면제의 종류 #Temazepam : 수크라민정, 알사반정, 잔트락에스정, 잔티팜정 #Triazolam : 졸민정, 트리람정, 트리졸정, 할시온정 #Etizolam : 데파스정 #Eszopiclone : 에조스타정, 조피클론정, 조스정, 조피스타정, 파마에스조피클론정 #Zolpidem : 스립정, 스틸녹스정, 졸피드정, 졸피람정, 졸피신정, 졸피움정, 파마주석산졸피뎀정 #Doxepin : 독세정, 리치나잇정, 명세핀정, 사일레노정, 사일원정, 시네칸캅셀(비급여) 벤조다이아제핀계 수면제(Benzodiazepine hypnotics) ..
만성콩팥병, 투석환자에서의 BNP, Troponin I 기준수치 BNP (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는 기본적으로 심실의 심근에서 합성되고 분비됩니다. BNP 는 혈관확장, 나트륨의 소변배설, 이뇨효과를 유발합니다. RAAS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의 반대 역할을 하며, 심장의 부피가 증가할 때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합니다. 따라서 BNP 는 심실 벽이 늘어나게 하는 심장의 압력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심장이 늘어나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pre-proBNP 가 생성되고 이는 곧 2개로 나뉩니다. 하나는 활성을 가진 Active BNP 이고 하나는 활성이 없는 NT-proBNP 입니다. BNP의 반감기가 20분인 반면, NT..
야간발한 night sweat : 정의 발생기전 감별진단 원인약물 진단알고리즘 야간발한 (night sweat) 의 정의 sweating at night even when it is not excessively hot in your bedroom 발생기전 발한은 복잡한 방식으로 조절되는데, 역치 (thermoneutral zone, 온도중립범위) 이상으로 신체의 core temperature 상승했을 때 땀이 나면서 체온을 낮출 수 있게합니다. core temperature 가 올라가는 주요 원인으로 이불이나 옷을 두껍게 입었거나 외부의 온열장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땀이 나는 것은 신체의 적절한 반응입니다. 갱년기때는 이러한 체온의 역치 (thermoneutral zone, 온도중립범..
당뇨병 소모성 재료 처방전 요청하세요 : 요양비급여제도 지원대상 품목 기준금액 본인부담액 등록 청구 지급 필요서류 얼마전 지방에서 잠깐 올라오신 분인데, 마침 당뇨약이 다 떨어져서 약만 처방받으러 내원하신 분이계십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 인슐린을 맞는데 인슐린 주사바늘 같은 소모품 비용이 너무 비싸다고 하소연을 하시네요. "어? 그래요? 당뇨병 소모성 재료처방전 받으시지 않으세요? 그걸로 하면 지원이 좀 되잖아요~" "그게 뭐에요? 아무도 이야기 안해주던데..." "인슐린 바늘이나 채혈침 같은 소모품들을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제도에요. 그런데 처방전 받으시려면 당뇨병 등록이 필요해요. 등록을 하려면 당뇨 검사를 해야하는데 검사를 하시겠어요?" "이제 곧 지방으로 내려가아해요." "그러면 당뇨 진단..
감기 Common cold : 원인바이러스 감별질환 급성기관지염 효과있는치료 효과없는치료 부루펜과타이레놀 급성인두편도염 Centor점수 Mclsaac점수 부비동염 항생제 감기 (common cold) 의 원인 바이러스 Rhinoviruses (30~50%) -- 가장 흔하다. Coronaviruses (10~15%) Influenza viruses (5~15%) Respiratory syncytial virus (5%) Parainfluenza viruses (5%) Adenoviruses (
60대 남성분 오른쪽 복통이 있다고 하여 오셨습니다. 위치가 좀 애매합니다. 배라고 하기에는 살짝 아래쪽, 옆구리 쪽에 가깝습니다. 눌렀을 때 통증도 확실히 있습니다. 아무래도 충수염이 중요하니 충수염과 관련된 신체 검사를 해봅니다. 몇 가지 테스트를 해봤는데 충수염에 관한 소견은 안나옵니다. '그럼 뭐지?' 오른쪽에는 중요한 장기들이 몰려있습니다. 우선 간, 담낭, 우측 신장을 확인해보기로 하고 바로 현장에서 검사가 가능한 초음파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초음파에서는 별 이상이 없습니다. 간, 담낭, 신장 모두 통증이 있을만한 이상은 없습니다. '그럼 뭐지?' CT 를 찍으면 좋으련만 외래에서 배아프다고 전부 CT를 촬영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다 응급실로 가시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그래서 복..
골다공증검사 골밀도검사 급여기준 보험기준 고시 제2019-28호(행위) 다334 골밀도검사의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1. 만18세 이상인 경우 가. 급여대상 1) 65세 이상의 여성과 70세 이상의 남성 2) 고위험 요소가 1개 이상 있는 65세 미만의 폐경 후 여성 (1) 저체중(BMI < 18.5) (2) 비외상성 골절의 과거력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3) 외과적인 수술로 인한 폐경 또는 40세 이전의 자연 폐경 3) 비정상적으로 1년 이상 무월경을 보이는 폐경 전 여성 4) 비외상성(fragility) 골절 5)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 있는 경우 6)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을 복용중이거나 장기간(3개월 이상) 투여 계획이 있는 경우 7) 기타 골다공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