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슘의 조절 (2) 2023.05.31 - 칼슘의 조절 (1) 2023.06.05 - 칼슘의 조절 (2) 2023.06.07 - 인의 조절 신장에서의 칼슘 재흡수 및 배설 정상적으로 칼슘이온의 99% 는 nephron 에서 재흡수 됩니다. 사구체에서 여과된 칼슘 이온 중 (혈장단백질에 결합된 칼슘 (45%)을 제외, 나머지 55% (이온화칼슘 50% + 음이온결합 칼슘 5%)는 사구체에서 여과됨. 하루 여과되는 칼슘의 총량 대략 220 mmol (8800mg)) 70% 는 proximal tubule 에서 재흡수 20% 는 loop of Henle (주로 TAL 의 cortical portion) 에서 재흡수 9% 는 distal tubule 에서 재흡수 1% 미만은 collecting duct 에서 재..
건강검진 혈액/소변검사 할 때 같이 시행하면 좋을 검사들, 건강검진 일정 건강검진 혈액/소변검사 할 때 같이 시행하면 좋을 검사들 국가건강검진 때 기본 혈액검사, 소변검사의 항목은 매우 빈약합니다. 정말 필수적인 신장기능, 간효소수치, 빈혈 수치, 혈당만 체크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젊고 건강하신 분들이야 최소한의 검사만 해도되겠지만, 평소 기저질환이 있으시거나 고령이신 분의 경우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외래에서 만성질환으로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으시는 분들은 통상적으로 검진 항목보다 좀 더 풍부한 검사를 하고 계십니다. 따라서 건강검진할 때 미리 불편한 증상이 있다면 그 부분에 대해 상담을 통해 필요한 검사를 추가적으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면 평소 무기력하고 살이 찌는 것 같다면? ..
MRI 검사 급여기준 개선 방안 (2023년 9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2023. 5. 30 보도자료) "뇌질환과 무관한 단순 두통, 어지럼에 일률적으로 복합촬영 최대 급여 보장범위인 3촬영 실시하는 경향" "군발두통 급여 인정위해서는 '특징적인 신경학적 이상 증상' 충족 필요" "의학적으로 뇌칠환 연관성이 낮은 두통/어지럼 유형은 급여대상에서 제외" "두통/어지럼 복합촬영 급여 보장범위를 2촬영으로 축소 "중증 뇌질환이 우려되어 의학적으로 3촬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진료기록부에 사유를 명확히 기재한 경우에 한에 예외적으로 허용" "2023년 하반기 중 시행될 예정."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6월 1일 부터 (2023. 5. 30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추진방안 (요약)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주요내용 1. 실시 기관 : 의원급 의료기관 원칙, 병원급 의료기관 예외적 허용 시범사업 실시기관은 의원급 의료기관을 원칙으로 하고, 병원급 진료가 불가피한 환자를 고려하여 병원급 의료기관은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2. 대상 환자: 대면진료 경험자 중심 한시적 비대면진료는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제한 없이 비대면진료를 할 수 있었으나, 시범사업에서는 대상환자가 제한된다. 의료계와 환자단체는 안전성을 강조하여 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환자를 중심으로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앱 업계에서는 환자의 편의성도 의료접근성 제고를 위해 중요하므로 대면진료 경험이 없어도 비대면진료..
칼슘의 조절 (1) 2023.05.31 - 칼슘의 조절 (1) 2023.06.05 - 칼슘의 조절 (2) 2023.06.07 - 인의 조절 정상 성인에서 신장으로 칼슘과 인이 배출되는 양은 위장으로 흡수하는 것과 균형을 맞춥니다. 칼슘과 인의 농도가 떨어지면 (1) 위장에서 칼슘과 인을 흡수 / (2) 뼈에서 칼슘과 인을 해리 / (3) 신장 세뇨관에서 칼슘과 인 재흡수 증가하여 칼슘과 인의 농도를 정상화 시킵니다. 성장기 또는 임신때는 위장에서 흡수하는 양이 소변 배설량을 초과하는데, 이 초과된 이온은 태아 조직과 뼈를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반면 골다공증이나 살이 빠질 때 소변으로의 이온 배설이 늘어나는 반면 위장에서의 흡수량은 변화없는데, 이 과정에서 칼슘과 인은 소실됩니다. 칼슘의 체내 분포 99%..
소송이 만연한 현대사회, 진료실 CCTV 설치 가능한가? 녹음은 해도되나? 우리나라가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면서 시민의식도 선진화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소송이 만연해지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 소아과를 비롯한 필수의료가 무너지고 있다는 언론 보도를 접하며 최근 의사들이 바이탈과를 택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소송 risk 를 꼽고 있습니다. high risk low return 인데 누가 택하겠냐는 것입니다. 예전 제가 인턴을 시작할 무렵, 한 친구는 인턴조차도 하지 않은채 미용의원을 개원하였습니다. 당시만해도 거의 대부분 과를 정해 수련을 받고 해당과의 전문의가 되는 것이 당연한 과정이었습니다. 임상경험이 거의 전무한 의대생 상태에서 갓 의사면허를 취득했는데 어떻게 진료를 보냐는 인식이 있..
투석환자 대상포진 약 항바이러스제 Acyclovir, Famciclovir 용량 대상포진으로 인한 통증 기간을 줄이고, 이 후 대상포진 후 신경통 (postherpetic neuralgia) 를 예방하기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약제는 acyclovir 인데, 이러한 약제는 신장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신기능 저하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정상 신기능을 가진 사람의 경우 acyclovir 반감기는 2~3.5 시간이나, 소변을 전혀 보지 않는 말기신부전 환자의 경우 acyclovir 반감기는 24시간 이상입니다. 대상포진에서 항바이러스 사용은 언제 하는가? 보통 발진이 생긴 후 72시간 이내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만성신부전환자 혹은 말기신부전환자의 경우 ..
정상 충수 모습, 충수염 초음파 관련 자료 초음파로 충수 찾는 방법 볼록형 저주파 탐촉 자(3-5MHz)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윤곽을 확인 우상복 부에서 우측 신장의 장축영상을 얻은 후 하방으로 이동 상행결장의 종단상을 찾고 우하복부까지 이동 우측 요근과 만나게 되는 맹장에 도달 여기에서 탐촉자를 횡단면(transverse view)으로 회전 좌측에 맹장(cecum), 하방에 우측 요근(psoas m.), 상방에 말단회장(terminal ileum), 우측에 장골동맥(iliac artery)을 관찰 고주파 선형 탐 촉자(7-12MHz)로 변경 점진적 압박(graded compression)을 통하여 말단회장내 가스를 밀어냄 탐촉자와 우측 요근 사이 의 거리를 좁히면서 우측 요근과 말단회장 사이로 주행하는 ..
당뇨약 보험급여기준 (2023. 5. 1 / 고시 제2023-82호), 급여 가능 당뇨약제 조합 * 이번 고시 개정 사유 ○Enavogliflozin 경구제(품명: 엔블로정 등) 단일제 및 Dapagliflozin + Glimepiride 복합 경구제(품명: 다파그린지정 10/ 4밀리그램 등 4품목), Dapagliflozin +Gemigliptin 복합경구제(품명: 제미다파정), Dapagliflozin + Sitagliptin 복합경구제(품명: 엑시글루에스정), Dapagliflozin +Saxagliptin 복합경구제(품명: 큐턴정5/10밀리그램), Empagliflozin +Linagliptin 복합경구제(품명: 에스글리토정25/5밀리그램 등 2품목), Ertugliflozin +Sitaglipt..
식욕촉진제 메게이스(메게스트롤) 보험급여기준 가끔 식욕촉진제를 처방해 달라는 분들이 많습니다. 메게이스라는 대표적인 식욕촉진제가 있는데 보험기준이 헷갈릴 수 있어 정리해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험인정기준 고시 제2013-127호 Megestrol acetate (품명 : 메게이스내복현탁액 등) 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투여 시 요양급여 함을 원칙으로 함. 2. 허가사항 중 암환자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의 암환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대상:재발성·전이성 암 환자 나. 증상:식욕부진, 악액질, 체중감소 * 시행일: 2013.9.1. * 종전고시: 고시 제2013-103호(2013.7.1.) * 변경사유: 용어정비 식품의약..
잠복결핵감염 검사 (IGRA) 양성이면 어떻게 하나? (결핵예방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보건복지부령 제898호, 의료기관 결핵관리 안내, 결핵진료지침, 잠복결핵감염 검사와 치료) 현행 결핵예방법 시행규칙 * 의료기관장·산후조리업자·학교장·유치원장·어린이집 원장·아동복지시설장 등은 종사자·교직원에게 매년 결핵검진등을 실시토록 규정 - 결핵 검진 : 흉부 X선 검사 또는 결핵균 검사 - 흉부 X선 검사 결과, 유소견자는 객담검사(도말·배양·핵산증폭검사)로 활동성 결핵 여부를 확인 * 결핵환자를 검진·치료하는 의료인과 결핵환자를 진단하는 의료기사·결핵환자 간호 및 진료 보조를 수행하는 간호사·간호조무사도 잠복결핵감염검진을 받도록 하고 있음. - 잠복결핵감염 검진 : 의료기관에 소속된 기간 중 1회 실시 - 잠..
골다공증 약제의 보험인정기준 : Raloxifene, Bazedoxifene, Bisphosphonate, Denosumab, Teriparatide, Teriparatide acetate, Romosozumab Raloxifene제제, Bazedoxifene제제, 활성형 Vit D3 제제, Bisphosphonate 제제 DXA을 이용하여 골밀도 측정시 T-score가 -2.5 이하인 경우 (T-score ≤ -2.5) 1년 이내로 투여, 추적검사에서 T-score가 -2.5 이하로 약제투여가 계속 필요한 경우는 급여 *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투여 환자 6개월 이내에 최소 90일을 초과하여 prednisolone을 총 450mg 이상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약제..